자료 모든 자료입니다.

"교육부가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추진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2월이다. 평생교육 단과대학 설립을 유인하기 위해 당근으로 예산 3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문제는 설립 추진부터 인가까지 걸린 시간이 불과 1년도 되지 않을 정도로 졸속이었다는 것이다."

1개의 댓글

여름방학엔 좀 놀게 하자구요. 아이참.

7개의 댓글

핀란드의 교육을 다룬 Where to invade next _ (마이클무어 감독)영상입니다. 시간내서 한번 봐야겠어요. 괜히 더 부러워지지나 않을까 싶지만..

1개의 댓글

디지털 시대의 교육, 협력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공감이란 무엇인가? 다양한 연구를 통해 검증된 공감의 효과는? 공감/공감교육을 구성하는 요소는? 이러한 물음에 대해 전문가로 부터 듣는 모임을 마련했습니다. 최근 다양한 곳에서 공감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고, 그 의미는 지나치게 유연하게 적용되고 있어서 걱정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공감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에 대한 필요와 공감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

1개의 댓글

'모두의 놀이터' 아이디에이션 Ⅰ. 해외사례 정리 왜 유럽과 서구 선진국인가? 유럽은 소위 한국인들에게 '노인과 여성, 어린이'로 대표되는 사회적 약자가 살기에 좋은 복지의 대륙으로 인식됨. 그러나 막연히 "유럽이라면 안 그럴꺼야"라는 식으로 유럽이 모든 사회복지-아동복지-놀이터에 관한 것까지 가장 좋은 유토피아인 것 마냥 치부하는 것은 거친 사대주의로 흐를 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의 교육제도를 본받아야한다고 한 것은, 미국의 사립학교가 아니라 공립학교를 두고 한 말이었군요.

1개의 댓글

네 이런 변화들이 중요합니다.

2개의 댓글

경기도에서 야간자율학습을 폐지한다고 하네요

1개의 댓글

선행학습을 받아 남을 이겨 먹어야 살아 남을 수 있다고 가르치는게 잘못이란 것을 모르지는 않을테지요. 감독 강화한다고 해도 고쳐지는게 아니라 더 몰래 할텐데요. 어디서부터 꼬인거지?

1개의 댓글

음.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수학여행이란 행사의 의의도 궁금해졌네요.

1개의 댓글

응원합니다

1개의 댓글

기사가 약간 편향적인 듯도 하지만. 기사가 우려하는데로 매매가 된다면 좀 뭔가 이상하군요.

배움에는 끝이 없다!

학술논문은 공개가 맞습니다. 별로 보는 사람이 없을지라도요. 너무 갇혀있었지요.